1904년 2월 23일은 대한제국이 일본의 강압에 의해 「한일의정서」를 체결한 날로, 대한제국 식민지화의 서막을 알리는 날이다. 이날 외부대신서리(外部大臣署理) 이지용(李址鎔)은 주한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林權助)와 비밀리에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체결한다.
- 「한일의정서」란
- 「한일의정서」 체결 배경
- 「한일의정서」 전문
- 드라마 속 「한일의정서」
「한일의정서」란
「한일의정서」는 1904년 2월 23일 대한제국 외부대신서리 이지용이 주한일본공사 하야시와 비밀리에 체결한 조약이다. 겉으로는 황실의 안전과 대한제국의 독립, 영토 보전을 약속하지만 사실상 대한제국의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 자주권을 제약하는 구실이 된다.
러시아에 대한 대한제국과 일본의 공수동맹이라는 명분으로 추진된 의정서였지만, 대한제국의 국권을 유린하고 식민지화 하기 위해 계획된 일본의 구실에 불과했다.
「한일의정서」 체결 배경
1903년 말부터 일본은 러시아와의 전쟁을 대비해 한일 간 비밀조약 체결을 준비하기 시작한다. 당시 대한제국 정부도 러일전쟁의 발발이 가시화되자 그동안 외교정책으로 추진해오던 중립화 정책의 일환으로 비밀리에 전시 국외 중립선언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를 눈치챈 일본의 압박이 거세지자 고종은 시간을 벌기 위해 이지용에게 하야시 공사와 교섭하게 한다. 비밀리에 중립선언을 준비를 마친 고종은 이내 중립선언을 해버린다.
대한제국의 중립선언을 곱지 않게 여긴 일본은 대한제국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황성을 점령한다. 그리고 대한제국을 일본의 군사기지로 제공하는 조약을 강요한다. 이것이 바로 「한일의정서」이다.
「한일의정서」 전문
대한제국 황제 폐하의 외부대신 임시서리 육군참장 이지용과 대일본제국 황제 폐하의 특명전권공사 하야시 곤스케는 각자 상당의 위임을 얻어 다음과 같은 조항을 협정한다.
제1조 일한 양 제국 간에 항구불역(恒久不易)의 친교(親交)를 보지(保持)하고 동양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대한제국은 대일본제국 정부를 확신하여 시정(施政)개선에 관해 그 충고를 수용한다.
제2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 황실을 확실한 신의로써 안전 강녕케 한다.
제3조 대일본제국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 및 영토를 확실히 보증한다.
제4조 제3국의 침해로부터 혹은 내란 때문에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 혹은 영토 보전에 위험이 있는 경우 대일본제국 정부는 속히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대한제국 정부는 이러한 대일본제국 정부의 행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편의를 제공한다. 대일본제국 정부는 전항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군사 전략상 필요한 지점을 임의로 수용할 수 있다.
제5조 대한제국 정부와 대일본제국 정부는 상호 승인을 거치지 않고는 장래에 본 협정의 취지에 위반하는 협약을 제3국과 체결할 수 없다.
제6조 본 협약에 관련하여 미비한 세목은 대일본제국 대표자와 대한제국 외부대신 간에 수시로 협정한다.
광무(光武) 8년 2월 23일
외부대신 임시 서리 육군참장 이지용(李址鎔)
명치(明治) 37년 2월 23일
특명전권공사 하야시 곤스케 〔林權助〕
드라마 속 「한일의정서」
24부작으로 반영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은
신미양요(1871년) 때 군함에 승선해 미국에 떨어진 한 소년이 미국 군인 신분으로 자신을 버린 조국인 조선으로 돌아와 주둔하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 드라마로 구한말을 배경으로 한다.
일본 본토로 일시 귀국하는 하야시를 모리 타카시가 마중하면서 나누는 대화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힘없는 대한제국이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한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한 1904년 2월 23일을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0 Comments
댓글 쓰기